본문 바로가기

각종 정보

국민연금 납부액 대비 예상수령액 직접 계산법 (2025년 기준)

반응형

1. 예상연금 계산, 왜 직접 해봐야 할까?

인터넷 계산기로 간편하게 예상할 수 있지만, 직접 내 납부액과 가입기간을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결과의 의미가 더 명확해집니다.

국민연금 수령액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:

  1. 평균 소득 수준
  2. 가입 기간(개월 단위)
  3. 연금 지급률

직접 계산해보면 "이렇게만 더 낸다면 얼마를 더 받을 수 있다"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.

2. 계산식 살펴보기

노령연금 월 예상액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:

기본연금액 = (A + B) × (1 + 0.05n/12) × 지급률,

  • 여기서 A는 최근 3년간 가입자 평균소득월액,
  • B는 본인의 가입기간 평균소득월액,
  • n은 가입기간이 20년을 초과한 기간(개월),
  • 지급률은 가입기간 10년 기준 50%이며, 그 이상 가입 시 매년 약 5%씩 증가합니다. 

예를 들어,

  • A = 308만 원 (2025년 기준),
  • B = 본인 평균소득월액,
  • 가입기간이 30년일 경우 지급률 = 50% + (10년 × 5%) = 100%.

3. 실전 계산 예시

월 납입 보험료 20만 원 기준 B값과 가입 기간별 예상액은 아래와 같습니다:

  • 10년 가입 → 약 20만 원 정도 예상 
  • 20년 가입 → 약 44만 원 예상
  • 30년 가입 → 약 65만 원 예상 

이처럼 가입 기간이 10년 늘어날수록 월 수령액이 크게 증가하므로, 미리 계획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.

4. 직접 계산 방법 쉽게 따라 해보세요!

  1. 납입 보험료 확인: 가입내역에서 최근 3개월 평균 납입액 확인
  2. 전자 모의 계산기 활용:
    •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'예상연금 간단계산'에서 무료 계산 가능 
    • 납입액과 가입기간을 직접 입력 후 계산하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3. 직접 계산 시 A값은 '평균소득월액'으로 고정값 참고 (2025년: 3,089,062원)
  4. 가입기간이 20년 넘으면, 'n'값(가입 초과 월수)을 계산에 포함하여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값을 확인해보세요.

공식 계산 도구 바로가기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