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예상연금 계산, 왜 직접 해봐야 할까?
인터넷 계산기로 간편하게 예상할 수 있지만, 직접 내 납부액과 가입기간을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결과의 의미가 더 명확해집니다.
국민연금 수령액은 크게 다음 세 가지 요소에 따라 달라집니다:
- 평균 소득 수준
- 가입 기간(개월 단위)
- 연금 지급률
직접 계산해보면 "이렇게만 더 낸다면 얼마를 더 받을 수 있다"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요.
2. 계산식 살펴보기
노령연금 월 예상액 계산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:
기본연금액 = (A + B) × (1 + 0.05n/12) × 지급률,
- 여기서 A는 최근 3년간 가입자 평균소득월액,
- B는 본인의 가입기간 평균소득월액,
- n은 가입기간이 20년을 초과한 기간(개월),
- 지급률은 가입기간 10년 기준 50%이며, 그 이상 가입 시 매년 약 5%씩 증가합니다.
예를 들어,
- A = 308만 원 (2025년 기준),
- B = 본인 평균소득월액,
- 가입기간이 30년일 경우 지급률 = 50% + (10년 × 5%) = 100%.
3. 실전 계산 예시
월 납입 보험료 20만 원 기준 B값과 가입 기간별 예상액은 아래와 같습니다:
- 10년 가입 → 약 20만 원 정도 예상
- 20년 가입 → 약 44만 원 예상
- 30년 가입 → 약 65만 원 예상
이처럼 가입 기간이 10년 늘어날수록 월 수령액이 크게 증가하므로, 미리 계획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.
4. 직접 계산 방법 쉽게 따라 해보세요!
- 납입 보험료 확인: 가입내역에서 최근 3개월 평균 납입액 확인
- 전자 모의 계산기 활용:
-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'예상연금 간단계산'에서 무료 계산 가능
- 납입액과 가입기간을 직접 입력 후 계산하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직접 계산 시 A값은 '평균소득월액'으로 고정값 참고 (2025년: 3,089,062원)
- 가입기간이 20년 넘으면, 'n'값(가입 초과 월수)을 계산에 포함하여 계산기를 통해 정확한 값을 확인해보세요.
공식 계산 도구 바로가기
- 국민연금 예상연금 간단계산 서비스: 국민연금공단 예측 계산기
- 내 연금 조회(공인인증 필요): 국민연금공단 민원 페이지
반응형
'각종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결혼반지 가격 & 브랜드별 비교, 알뜰 구매 꿀팁 (0) | 2025.09.03 |
---|---|
2025년 순금 1돈 가격 안내 (1돈 = 3.75g) (0) | 2025.06.17 |
2025년 건강보험료 환급금 조회 방법 – 조회부터 신청까지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6.17 |
2025년 군복무 · 실업 크레딧 완전 정리 (0) | 2025.06.13 |
2025 국민연금 출산크레딧 총정리 (0) | 2025.06.12 |
2025년 모니모 가입방법 & 사용법 총정리 (추천인 입력 방법까지!) (0) | 2025.05.31 |
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및 납부액 조회 방법 총정리 (2025년 최신) (0) | 2025.05.28 |
2025년 공동육아나눔터 & 시간제보육 이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8 |